'폭싹 속았수다'에서 등장한 숨병, 실제 잠수병은 무엇일까?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주인공 애순의 어머니, 전광례는 29살의 어린 나이에 '숨병'에 걸려 세상을 떠납니다.
많은 사람들이 ‘숨병’이라는 단어를 듣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 할 텐데요, 사실 ‘숨병’은 의학적으로 케이슨병(감압병)이라고 불리며, 물속에서 발생하는 위험한 질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잠수병(감압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 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예방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잠수병(케이슨병)이란?
잠수병은 깊은 바다에서 빠르게 상승할 때 발생하는 압력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물속에서 높은 압력에 노출되면, 호흡을 통해 몸속에 들어간 질소 기체가 혈액 속에 녹아들게 됩니다.
이때 물속에서의 높은 압력은 우리 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수면 위로 빠르게 올라오면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면서 혈액 속을 돌아다니게 되어 몸에 심각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잠수병은 주로 해녀나 심해 잠수부들에게 발생하지만,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면 안전하게 다이빙을 즐길 수 있습니다.
잠수병의 주요 증상
잠수병의 증상은 급성 및 만성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잠수 후 나타나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미한 증상: 피로감, 두통, 관절 통증
- 중증 증상: 근육통, 어지러움, 호흡 곤란, 피부 발진
- 심각한 증상: 마비, 의식 저하, 쇼크, 심지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인 잠수를 할 경우, 만성 두통, 관절통, 난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 잠수병이 발생할까요?
잠수병은 주로 수압이 높고 급격하게 변화할 때 발생합니다.
물속에 들어가면 10m마다 1기압씩 수압이 증가하며, 이 수압은 공기보다 1,300배 더 무겁습니다.
이렇게 깊은 곳에 잠수하면 질소가 더 많이 혈액 속에 녹아들게 되고, 빠르게 수면으로 올라오면 체내에 녹아 있던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면서 혈관을 막게 됩니다.
이때, 질소 기체는 혈액 속을 돌아다니며 마취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산소 마취나 질소 중독을 유발해 정신을 잃게 만들 수 있습니다. 술에 취한 것처럼 사고력과 판단력이 흐려지며, 심한 경우 황홀감에 빠져 겁이 없어지고 사고를 일으킬 위험도 있습니다.
잠수병의 예방 방법
잠수병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안전한 다이빙이 중요합니다. 몇 가지 예방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 안전한 상승 속도: 잠수 후 상승할 때, 초당 15cm 이하의 속도로 상승해야 하며, 상승 중 3~5분의 안전 정지를 해야 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탈수나 피로는 잠수병 발생 가능성을 높이므로, 다이빙 전후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 컨디션 유지: 다이빙 전 몸 상태가 좋지 않으면 잠수병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항상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해야 합니다.
- 다이빙 시간과 깊이 제한: 다이빙 시간과 깊이는 항상 권장 기준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감압 테이블이나 다이빙 컴퓨터를 활용해 시간을 관리해야 합니다.
잠수병 치료 방법
만약 잠수병 증상이 발생했다면, 즉시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 공급: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여 질소 제거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고압산소 치료(하이퍼바릭 챔버 치료): 이 치료는 감압 챔버에서 일정한 압력과 산소를 통해 기포를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합니다.
- 즉시 병원 방문: 잠수병은 빠르게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전문 병원에서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결론
잠수병(케이슨병)은 심각한 질환이지만, 정확한 지식과 예방 수칙을 지키면 안전하게 다이빙을 즐길 수 있습니다. 깊은 바다 속에서의 다이빙은 흥미롭고 아름다운 경험을 선사하지만, 반드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몸 상태를 체크한 후 다이빙을 즐겨야 합니다.